Frameout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소중히 여기며,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련 법령을 준수합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서비스 제공 및 상담, 제안서 접수 등 정해진 목적 외에는 사용되지않습니다. 또한, 이용자의 동의 없이는 개인정보를 외부에 제공하지 않습니다.
Frameout은 입사지원 및 제안 요청/상담을 위해 이름, 연락처, 이메일 주소 등의 정보를 수집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입사지원 및 채용전형 진행, 입사지원정보 검증을 위한 제반 절차 수행과 제안서 작성, 상담 응대 등 업무 처리 목적에 한해 이용됩니다. 해당 정보는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입사 진행 절차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용자는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미동의 시 일부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수집 목적 달성 후 즉시 파기되며, 보관이 필요한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일정 기간 보관됩니다. 기본 보유 기간은 1년이며, 이후에는 지체 없이 안전하게 삭제됩니다. 이용자는 언제든지 개인정보 삭제 요청이 가능합니다.
SK텔레콤의 AI 서비스인 에이닷에서 T world와 관련된 서비스 영역의 UI, UX를 담당하여 수행하였습니다.
대화 기반의 AI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하여 고객 그룹을 정의하고 예상 질문과 답변을 유형화하여 AI 학습을 지원하였으며, 학습 결과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여
AI 챗봇 서비스인 에이닷의 지속적인 서비스 운영, 업데이트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채팅 기반의 AI 서비스를 위한 기획은 다양한 요소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우선 AI가 학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정의하고 해당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작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에이닷 서비스의 주요 사용자를 정의하였으며, 해당 사용자별로 예상되는 질문 리스트를 작성하였습니다. 그리고 해당 질문을 AI가 이해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학습을 시켰습니다.
사용자 정의, 예상 질문, 그리고 학습 데이터까지, T world와 연계하여 제시될 수 있는 여러 질문들과 다양한 답변 패턴을 사용자 그룹에 맞추어 제공할 수 있는
UX 가이드라인을 설계, 정의하여 성공적으로 구현하였습니다. 성별, 연령별에 맞추어 적절한 질문 유형과 해당 질문에 맞춘 UX 타입을 정의하였습니다.
특히 답변 형태를 텍스트 위주로 할 것인지, 카드 타입으로 보여줄 것인지, 적절한 이미지와 표 형태로 보여줄 것인지 등 여러 형태의 UX를 신중하게 검토하여 사용자
그룹에 최적화된 답변 형태를 정의하여 서비스에 반영하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을 학습시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UX로 서비스 편의성 뿐만 아니라 최적의
답변으로 만족도를 높였습니다.
고객이 원하는 질문을 선제적으로 정의하고, 고객이 가장 쉽게 편안하게 확인할 수 있는 답변 UX를 설계, 구현하여 에이닷에서 제공할 수 있는 SK텔레콤 고객이
궁금해하는 통신 상품, 요금 등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많은 상품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T world를 AI 챗봇인 에이닷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